세례 문답 교육 | 운영자 | 2010-03-07 | |||
|
|||||
Ⅰ. 세 례 문 답 사 례 교회와 예배에 대하여 1. 교회란 무엇입니까 ? (고전 12: 27, 엡 1: 23, 롬 12: 4-5) 답) 이 세상에서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아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믿게 된 사람들의 모인 공동체이며, 그리스도 께서 머리가 되시고 성도들은 그의 지체가 됩니다. 그러므로 우리들은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의 지체입니다. 2. 교회의 주인은 누구입니까 ? (마 16: 18, 엡 1: 22) 답) 교회의 주인은 교회의 머리이신 예수 그리스도입니다. 3. 교회가 하는 중요한 일은 무엇입니까 ? (롬 12: 1-2, 마 28: 18-20, 행 2: 44-47 행 1: 8, 롬 1: 14 빌 3:3, 벧전 4: 11, 마 20: 28) 답) 예배, 교육, 선교, 교제, 봉사입니다. 4. 예배는 무엇입니까? (시 145: 1) 답) 하나님을 찬양하고 경배하며, 하나님을 높이는 것입니다. 5. 예배드리는 사람은 어떤 마음가짐으로 드려야 합니까? (요 4: 24) 답) 성경은 “예배하는 자는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지니라.”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6. 교회에서 드리는 예배에는 어떤 종류들이 있습니까? 답) 공적인 예배로 주일 낮 예배와 주일 찬양예배와 구역예배가 있습니다. 그리고 기도회로 수요기도회와 금요기도회, 새벽기도회 등이 있습니다. 7. 교회에서 행하는 거룩한 예식으로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마 28: 19, 막 14: 22-24, 고전 11: 23-29) 답) 세례식과 성찬예식이 있습니다. 8. 세례는 무엇입니까? (고전 12: 13, 롬 4: 11, 막 1:4) 답) 죄 씻음을 받는 표로서 옛 사람은 죽고, 하나님의 자녀로 새롭게 태어났음을 확증하는 것이며,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의 일원이 되는 예식입니다. 9. 성찬은 무엇입니까? (고전 11: 23-26, 고전 10: 16-17) 답) 예수님께서 베푸신 최후의 만찬에서 시작된 것으로 떡과 포도주를 제자들에게 나누어 주시면서 장차 온 세상을 위해 죽임을 당하신 자신의 몸(떡으로 상징)과 피(포도주로 상징)를 기념하라고 하신 데서 시작된 것 입니다. 이는 나를 위해 죽으신 예수님을 기억하며, 또한 주님의 살과 피를 먹고 마신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 와 한 몸이 된 것과 우리 모두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가 된 것을 확인하는 예식입니다. 10. 성찬예식에 합당하게 참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고전 11: 27-29, 요 6: 55-56) 답) 세례받은 자로서 주의 몸을 분별할 수 있는 믿음과 지각을 가지고 죄를 회개하면서 몸과 마음을 살펴 경건 하게 살고자 하는 새로운 각오로 참여해야합니다. 그렇지 않고 부당하게 참여하면 죄를 먹고 마시는 것이 됩 니다. 11. 기도는 무엇입니까? (요 14: 13-14, 막 14: 36) 답) 기도는 예수님 이름으로 우리의 소원을 하나님께 아뢰며 하나님과 영적 대화를 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내 뜻을 버리고 하나님의 뜻을 발견하고 순종하려는 것입니다. 12. 왜 우리는 기도를 합니까? (약 4: 2-3, 마 6: 10) 답) 모든 일을 하나님이 도와주지 않으면 인간의 힘으로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자신뿐 아니라 교회와 가정과 이웃과 세계가 하나님의 나라로 건설되고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해서 기도해야 합니다. 13. 예수님이 우리에게 보여 주신 기도의 모범은 무엇입니까? (마 6: 6-13) 답) ‘주기도’입니다 ( 찬송가 참고). 이 기도는 예수님이 친히 제자들에게 가르치신 것으로 우리가 기도하는 데 중요한 지침이 됩니다. 14. 주일은 어떤 날입니까? (창 2: 2, 출 20: 8, 행 20: 7) 답) 하나님이 칠일 가운데 하루를 거룩한 안식일로 정하신 날입니다. 하나님이 천지를 엿새 동안 창조하시고 제 칠일에 쉬심으로 안식일을 정하시고, 우리에게도 역시 안식일을 지키게 하심으로 복되고 거룩하게 하셨습니 다. 하나님은 매주 일곱째 날을 안식일로 정하셨습니다. 그 후 예수님께서 안식 후 첫날에 부활하심으로 주님 의 부활을 기념하여 매주 첫날을 주일로 지키게 되었습니다. 15. 주일은 어떻게 지켜야 합니까? (출 20: 11, 사 58:13, 마 12: 10-12) 답) 온종일 거룩하게 쉼으로 여러 가지 세상일과 오락을 그치고, 공적 또는 사적예배를 드리는 데 사용하며, 구 제와 봉사, 성도의 교제, 성경공부, 심방, 환자 돌봄, 전도 등의 경건 생활을 하면서 보내야 합니다. 16. 헌금이란 무엇입니까? (고후 9: 13, 마 22; 21, 신 16: 17, 마 6: 20) 답) 헌금은 우리가 가진 물질과 생명이 모두 하나님께로부터 온 것임을 고백하며, 하나님이 베풀어 주신 은혜에 감사하는 마음으로 하나님께 드리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모든 것의 주인으로 인정하며 감사하면서 기쁜 마음 으로 정성을 다해 드리는 것입니다. 17. 헌금생활의 표준은 무엇입니까? (말 3: 8-10) 답) 주일헌금, 십일조, 감사의 내용에 따라 다양하게 드리는 감사헌금 등입니다. 18. 십일조는 왜 해야 합니까? (레 27: 30, 말 3: 10) 답) “너희는 온전한 십일조를 창고에 들여 나의 집에 양식이 있게 하고 그것으로 나를 시험하여 내가 하늘 문을 열고 너희에게 복을 쌓을 곳이 없도록 붓지 아니하나 보라.”는 말씀에 따라 수입의 10분의 1을 감사와 믿음 으로 하나님께 드리는 것입니다, 십일조는 신자의 중요한 의무이며 믿음생활의 외적 표준입니다. 19.사람이 죽으면 그 이후에 어떤 세계가 있습니까? (시 9; 17, 눅 16: 23, 눅 23; 43, 마 25: 46) 답) 사람이 죽으면 그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분명히 천국과 지옥이 있습니다. 천국은 예수 구주로 믿는 사람이 가는 곳이고, 지옥은예수를 믿지 않는 불신자들이 가는 곳입니다. 20. 그리스도인이 죽으면 어떻게 됩니까? (고후 5: 1, 6, 8, 행 3: 21, 고전 15 :51-52, 고전 15: 42-44 ) 답) 그리스도인이 죽을때 그 영혼은 완전히 거룩하게 되어 즉시 영광중에 들어가고, 그 몸은 여전히 그리스도와 연합하여 부활할 때까지 무덤에서 쉬게 됩니다. 매장하지 않았다고 할지라고 그 육체는 마지막 날 신령한 몸으로 부활할 것을 믿습니다. 21. 기독교와 다른 종교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엡 2: 8-9) 답) 기독교는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우리를 죄에서 구원하신 유일한 구원자로 믿지만, 타종교는 그 종교의 창시자인 인간을 성자로 숭배합니다. 중요한 인간의 구원에 있어서 기독교는 하나님이 친히 구원에 관한 모든 일을 다 이루시고, 사람은 그것을 믿고 받아들임으로 구원을 얻지만, 타종교는 자기의 힘과 노력에 의해 구원에 도달한다고 믿는 것입니다. 인간과 죄에 대하여 1. 사람의 기원은 무엇입니까? (창 1: 26-27) 답) 하나님이 치밀한 계획에 따라 창조되었습니다. 자연적으로 생겼거나 원숭이로부터 진화한 것이 아닙니다. 2. 사람이 제일되는 목적은 무엇입니까? (고전 10: 31, 롬 11: 36, 시 63: 24-26, 요 17: 22) 답) 사람의 제일 되는 목적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고 영원토록 하나님을 즐거워하는 것입니다. 3. 사람을 죄인으로 판단하는 죄의 기준은 무엇입니까? (딤후 3: 16) 답) 사람의 생각이나 사회적 전통이 아니라 하나님의 법인 기록된 말씀, 곧 성경입니다. 4. 죄란 무엇입니까? (요일 3: 4, 요일 5: 17, 롬 14: 23, 요 16: 9, 약 4: 17) 답) 죄는 하나님의 법(말씀)을 불순종하여 어김으로 하나님을 떠나 자기마음대로 살아가는 것입니다. 5. 아담이 지은 죄는 무엇이며, 우리 인류와 어떤 관계가 있습니까? (시 51: 5, 롬 5: 12-18, 고전 15: 21-22) 답) 우리는 이것을 원죄(原罪)라고 합니다. 그리고 모든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이 원죄를 가지고 태어납니다. 즉, 원죄란 태어나면서 모든 인간이 자연적으로 습득하는 육체의 본성을 말합니다. 이것의 특징은 하나님 중심이 아니라 자기 중심이며, 이타적인 삶이 아니라 이기적인 삶에 있습니다. 6. 자범죄(自犯罪)란 무엇입니까? (약 1: 14, 약 3: 14-16, 약 4: 1) 답) 원죄로 인해 생긴 이기적인 자아 사랑과 세상 사랑의 성향으로 말미암아 날마다 짓는 온갖 죄를 가리키는데, 이러한 범죄는 개인적인 죄와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인 구조악을 만들어 냅니다. 기쁜소식에 관하여 1. 인간이 하나님의 심판을 면제받고 죄 용서를 받아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는 길은 없는 것입니까? (엡 2: 3-6, 엡 2: 13-16) 답) 있습니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허락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받아들여 믿음으로 고백하는 것입니다. 2. 그러면 하나님이 인간에게 주신 복음이란 무엇입니까? (요 1: 12, 요 3: 16, 롭 5: 8-11) 답) 복음이란 온 세상을 위한 기쁜 소식인데, 이것은 하나님께서 그의 외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이 땅에 보내셔 서 우리가 지은 죄의 값을 대신 치르게 하심으로 우리를 죄에서 영원히 구원해 주시고 하나님의 자녀가 되게 해 주시는 것입니다. 3.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한다는 것을 무엇을 뜻합니까? (롬 8: 9-11) 답) 예수 그리스도께서 나의 죄를 없게 하시려고 나 대신 죽으신 나의 구세주임을 믿음으로 나의 삶을 통치하시 고 주관하시는 왕이요, 내 삶의 주인되신 주님으로 온전히 모시는 것을 말합니다. 4. 하나님이 우리에게 베푸신 최고의 선물, 최대의 은혜는 무엇입니까?(엠 2: 8-9) 답) 내가 구원받고 영생을 얻은 것입니다. 5. 구원받은 신자의 제일되는 목적은 무엇입니까? (고전 10: 31, 엡 2: 10, 엡 1: 14) 답) 구원받은 사람의 제일되는 목적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고 영원토록 하나님을 즐거워하는 것입니다. 6. 성부 하나님, 성자 예수님, 그리고 성령님, 이 세 분은 서로 어떤 관계가 있습니까? (고후 13: 13, 마 3: 16-17, 마 28: 19, 창 11:8) 답) 세 분은 동등하신 하나님으로서 삼위일체(三位一體) 하나님이십니다. 즉, 삼위가 있으나 본체는 하나이신 한 하나님이며 권능과 영광이 동등하십니다. 이러한 삼위일체 하나님의 진리는 사람의 이성으로 풀 수 없는 기 독교의 신비로운 진리중의 하나입니다. 7. 성경은 어떤 책입니까? (히 4: 12, 벧후 3: 2, 벧후 3: 15, 시 119: 105) 답) 성경은 하나님의 영감에 의해 인간의 말로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입니다. 또한 성경은 우리의 믿음과 생활의 유일한 법칙이며 규범이 됩니다. 8. 성경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습니까? (요 5: 29) 답) 성경은 전체가 66권인데 구약39권, 신약 27권으로 되어 있습니다. 구약성경은 천지창조에서 시작하여 앞으로 오실 구원자에게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즉, 구약성경의 모든 사건과 이야기는 앞으로 오실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준비와 에언입니다. 신약성경은 이미 오신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와 가르침, 그리고 그의 제자들의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증언과 가르침이 들어있으며, 앞으로 있을 세상의 마지막 심판과 영원한 천국에 대해서 말하고 있습니다. 9. 성경은 어떻게 기록되어 있습니까? (딤후 3: 15-17) 답) 성경은 성령님에 의하여 기록되었으며, 여러 사람들이 성령의 감동을 받아 기록했습니다. 그러므로 오늘날 우리가 성경을 읽을 때도 역시 성령의 감동을 받아야 그 의미를 깨달을 수 있습니다. 10. 성경의 중심 주제는 무엇입니까? (눅 24: 27, 눅 24: 44) 답)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 구약성경의 주제는 “오실 메시아”이고, 신약성경의 주제는 “오신 메시아”입니다. 11. 성경이 주로 가르치는 것은 무엇입니까? (요 20: 31, 시 119: 105, 미 6: 8) 답) 성경은 사람이 하나님을 어떻게 믿어야 하며, 하나님을 믿는 사람에게 약속되어진 복이 무엇이며, 하나님이 사람에게 요구하시는 의무가 무엇인지를 가르칩니다. 12. 사도신경이란 무엇입니까? (마 16: 16) 답) 사도들의 신앙고백을 정리해 놓은 것인데, 기독교의 중요한 교리를 요약한 것으로서 그리스도인의 기본적인 신앙고백입니다. 13. 사도신경을 외울 수 있습니까? 답) 전능하사 천지를 만드신 하나님 아버지를 내가 믿사오며, 그 외아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사오니, 이 는 성령으로 잉태하사 동정년 마리아에게 나시고, 본디오 빌라도에게 고난을 받으사 십자가에 못박혀 죽으 시고, 장사한 지 사흘 만에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시며, 하늘에 오르사 전능하신 하나님 우편에 앉아 계시다가, 저리로서 산 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러 오시리라. 성령을 믿사오며, 거룩한 교회와 성도가 서로 교 통하는 것과 죄를 사하여 주시는 것과, 몸이 다시 사는 것과, 영원히 사는 것을 믿사옵니다. 아멘. |
댓글 0